소상공인, 유커 특수 누리려면 소비패턴 반영해야
상태바
소상공인, 유커 특수 누리려면 소비패턴 반영해야
  • 박현주 기자
  • 승인 2023.09.25 14: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달 중국 정부가 한국에 자국민 단체관광 허용
유커 MZ세대가 체험위주 관광을 모바일페이 결제
사진-중국 유커 유입과 중소·소상공인 대응 전략 보고서
사진-중국 유커 유입과 중소·소상공인 대응 전략 보고서

소상공인이 중국인 관광객(유커) 유입에 따른 특수를 누리려면 유커의 변화된 소비 패턴을 반영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앞으로 방한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달 중국 정부가 한국에 대한 자국민 단체관광을 허용해서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지난 22일 '중국 유커 유입과 중소·소상공인 대응 전략' 보고서에서 "중국인 관광객 방한 증가에 따른 내수 개선 효과를 온전히 누리려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중국인 관광객의 소비 패턴을 이해해야 한다”라며 “올해 방한 중국인 관광객 규모는 181만명에서 349만명으로 추정되며 방한 중국인 관광객 유입에 따른 소비 증가액은 3조5992억원에서 6조9584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이후 중국인 관광객 소비패턴 변화의 주요 특징은 세 가지”라며 “중국에서 오는 여행객들이 주로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반 출생)'로 체험 위주 관광과 모바일 페이를 통한 간편 결제 소비를 선호한다”고 분석했다.

최근 중국 해외여행을 1980년대 이후 출생한 MZ세대가 주도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중국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완화 및 해외 관광시장 개방 후 MZ세대 92.2%가 출국했다. MZ세대의 방한 중국인 관광객은 코로나19 이전(2016~2019년) 62.9%에서 코로나19 이후(2023년 1월~7월) 68.4%로 증가했다. 한국을 찾는 중국인 MZ세대 관광객이 더욱 늘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이후 쇼핑 위주에서 체험 중심으로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관광공사·에어비앤비가 공동 발표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국인 방한 여행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여행을 희망하는 중국인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경험으로 쇼핑(88%)보다 현지음식(91%)과 야경(91%)을 선택했다.

사진-중국 유커 유입과 중소·소상공인 대응 전략 보고서
사진-중국 유커 유입과 중소·소상공인 대응 전략 보고서

한국관광 데이터랩이 제공하는 '글로벌 소셜미디어 방한여행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최근 5개월 동안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한국 관광'과 함께 언급된 해시태그는 틱톡 맛집 추천, 맛집, 한국음식 등으로 식도락 여행 관련 키워드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유커의 모바일 페이를 통한 간편 결제 중심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 신용카드사 유니온페이가 발표한 ‘2021 모바일결제 안전 조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1선 대도시 거주민의 월평균 소비액에서 모바일 결제 비중이 최대 90% 이상 차지한다. 모바일 결제는 중국인의 일상생활의 중요한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소상공인 간편결제시스템인 제로페이는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위챗페이(2020년 11월), 유니온페이(2022년 11월), 알리페이(2023년 9월) 등 중국 3대 모바일 페이와 연동된 시스템이다. 코로나19 영향으로 방한 중국인 관광객은 급감했음에도 불구하고 QR 기반인 제로페이와 연동된 중국 간편결제사의 국내 결제는 증가하고 있다.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의 자료에 따르면, 제로페이를 통한 위챗페이의 국내 결제는 2020년 1천건(2700만원)에 불과했지만, 2021년 2만1000건(6억4300만원), 2022년 9만4000건(24억8600만원), 2023년 상반기에는 12만7000건(48억8500만원)으로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보고서는 유커 특수를 누리기 위한 중소․소상공인 대응 전략을 두 가지로 제시했다. 로컬 체험 중심의 관광 상품을 강화하는 동시에 모바일 간편 결제로 중국인 쇼핑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미정 부연구위원은 "로컬크리에이터, 라이콘, 소상공인 간편 결제 시스템 등 기존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 연계와 정책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