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 박성효 이사장이 17일 오전 9시부터 시작된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사업’의 운영 현황을 점검했다. 이번 지원 사업은 지난해 7월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대책’의 후속 조치로, 고물가·고금리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지원 대상은 2023년 또는 2024년 연 매출 1억 400만 원 미만이며, 배달·택배비 실적이 있고, 신청일 기준 폐업하지 않은 개인 및 법인사업자다. 해당 요건을 충족하는 소상공인은 최대 30만 원의 배달·택배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접수는 2월 17일 오전 9시부터 ‘소상공인배달택배비지원.kr’을 통해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다. 특히,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생각대로, 바로고, 부릉 등 주요 배달앱 및 배달대행사의 협조로 배달비 내역이 전산으로 사전 확보된 ‘신속지급 대상자’는 보다 빠르게 지원받을 수 있다.디지털 활용이 어려운 소상공인은 전국 77개 소상공인지원센터를 방문하면 신청 및 접수 안내를 받을 수 있다.
강조 박성효 이사장은 이날 대전 본부에 마련된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상황실’을 방문해 접수 및 시스템 운영 상황을 직접 점검했다. 앞서 13일에는 원활한 지원을 위해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콜센터’를 방문해 준비 상황을 사전 점검하기도 했다.
박 이사장은 “이번 지원이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덜어주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마지막까지 신속하고 철저하게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배달앱을 사용하지 않거나 별도의 확인이 필요한 ‘확인지급 대상자’는 4월부터 신청이 가능하다. 해당 대상자에는 모든 택배사, 배달 플랫폼 및 배달대행사, 퀵서비스, 심부름센터 등을 이용하는 소상공인이 포함되며, 구체적인 신청 일정은 3월 말 이후 안내될 예정이다.
이번 지원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벤처기업부 누리집(https://www.mss.go.kr),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홈페이지(https://www.semas.or.kr)및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콜센터(1533-05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