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서울의 프랜차이즈 운영 현황’…가맹점 평균 창업비용 1억2705만원
상태바
‘2020년 서울의 프랜차이즈 운영 현황’…가맹점 평균 창업비용 1억2705만원
  • 정경인 기자
  • 승인 2021.08.05 17: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영점 운영 브랜드 생존율,
미운영 브랜드보다 20% 높아

서울시가 ‘2020년 서울의 프랜차이즈 운영 현황’을 지난달 28일 발표했다.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서울에 등록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는 1996개, 브랜드는 2654개다. 이들 브랜드가 운영하는 가맹점은 16만3145개(전국 분포)에 달했다.

전년도와 비교하면 가맹본부와 브랜드 수는 소폭 증가했고 가맹점수는 다소 줄었다. 다만, 가맹본부와 브랜드 수는 지난해 말 기준이고 가맹점 수는 2019년말 기준이다. 따라서 가맹본부와 브랜드 수 증가는 코로나19 상황을 반영한 것이고, 가맹점 수 감소는 코로나19 발생 이전 상황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해말 기준으로 가맹본부와 브랜드 수가 늘었다는 것은 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도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한 예비 창업자가 늘고 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또한, 전국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35.6%, 브랜드의 37.4%가 서울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에서도 강남구에 몰렸는데 전체의 20.7%에 해당하는 413개 가맹본부가 강남구에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가맹본부 5곳 중 1곳이 강남에 자리하고 있는 셈이다. 이어 서초구(9.1%, 182개), 송파구(9.1%, 181개), 마포구(7.7%, 154개) 순이다.

가장 많은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는 가맹본부는 24개 브랜드(가맹점 수 465개)를 운영 중인 ㈜훌랄라였다. 이어 요리사업가로 잘 알려진 백종원 대표가 있는 ㈜더본코리아가 22개 브랜드로 그 뒤를 이었다.

브랜드 수는 훌랄라가 가장 많았지만 가맹점 수는 더본코리아가 1423개로 훌랄라 465개 보다 훨씬 상회했다.

서울에서 가맹점을 창업할 경우 평균 1억2705만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1억3242만원보다 소폭 감소한 수치다. 창업이용을 살펴보면 가맹비(가입비)는 10% 이내였고 인테리어·설비비 등 기타비용 비중이 84.7%였다. 기타 비용 중에는 인테리어 비용이 41.3%로 단일 항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이 1억9297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도소매업 1억5534만원이었다. 외식업은 9814만원으로 2019년 1억396만원보다 582만원 감소했다.

가맹사업 시작 후 1년 이상 브랜드 생존율은 평균 92.9%였고 2년차 75.3%, 3년차 63.8%였고 5년이 경과하면 생존율이 51.5%로 떨어져 2개 중 1개만 살아남는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의 생존율이 1년차 93.3%→3년차 65.3%→5년차 61.5%로 가장 높았다. 반면 서민층 창업이 집중되는 외식업 생존율은 1년차 92.8%→3년차 63.8%→5년차 49.1%로 비교적 낮았다.

브랜드의 직영점 운영 여부에 따라서도 생존율이 갈렸다. 직영점을 운영하는 브랜드는 1년차 97.2%→3년차 72.7%→5년차 61.5%였지만 미운영 브랜드는 1년차 89.9%→3년차 55.7%→5년차 41.3%로 3년차 이후에는 생존율이 20%p 가량 차이났다. 이는 본부가 직영점 운영으로 쌓은 노하우를 가맹점에도 적용해 안정적 운영을 도운 것으로 평가된다.

서울시 등록 2654개 브랜드 중 직영점이 있는 곳은 1082개이며 지난해 신규 등록 브랜드(396개) 10개 중 8개는 직영점을 운영하지 않고 있었다.

가맹본부가 가맹점에 원재료 등 필수·권장 구입요구 품목에 부과하는 ‘차액가맹금’을 받는 브랜드는 2019년 30.5%에서 지난해 7.2%로 대폭 줄었다. 이는 본사가 영세 가맹점에 대해 과도한 마진을 취하는 등의 고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 2019년 정보공개서에 차액가맹금 기재를 의무화하면서 나타난 효과로 보인다.

서울시는 예비창업자들이 프랜차이즈 가맹점 창업시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가맹본부 정보공개서’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을 실시해 잘못된 부분에 대한 수정을 요청하고 필요시 공정거래위원회에 조사를 의뢰할 방침이다.

오영희 서울시 가맹정보팀장은 “잘못된 정보로 예비 창업자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가맹본부 등록시 제출하는 정보공개서 내용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고 있지만 현장 조사권한이 없어 한계가 있다”고 부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